석정혜

디자이너가 본인의 디자인으로 이목을 끌고 싶은 것은 당연하다. 하지만 공항 물품검색대에서 만큼은 아니다. 안타깝게도 이 일은 몇년 전 석정혜에게 벌어진 일이다. 평소와 다를 것 없이 본인의 브랜드 ‘분크’ 백을 메고 뉴욕 존. F. 케네디 공항안에서 게이트로 향하려던 그녀의 발걸음은 느닷없이 검색대에서 멈춰져야만 했다. 가방의 잠금 버클을 면도칼로 오해한 경찰들이 이를 수상하게 여긴 것이다. 물론 오해를 살만 하다. 면도칼에서 영감을 받아 디자인 된 시그니처 버클이 달린 분크의 가방들은 한국 로컬 브랜드들 가운데 가장 널리 이름이 알려진 브랜드 중 하나이다. 오늘에서야 그때를 회상하며 웃을 수 있지만, 당시 석정혜는 버클 디자인을 없앨 생각까지 했다고. 하지만 오늘날까지 간직한 이유를 물으니 그녀는 이렇게 대답했다. “이미 많은 고객분들이 애정을 가지고 좋아해 주셔서요.”

럭셔리 브랜드는 브랜드만의 뚜렷한 개성을 지녀야 하고, 이 디자이너는 그 법칙을 너무나도 잘 활용한다. 분크의 대표 석정혜는 성동구에 위치한 그녀의 스튜디오에서 우리를 맞이했다. 작업실 책상에 앉아 통유리 너머로 보이는 강을 바라보는 것이 그녀의 일과 중 하나이다. 벽면에는 무드보드가 가득 채워져있고 회의용 탁자 한쪽에는 한국 직장인들의 필수품인 테이크아웃용 커피 컵이 놓여져 있다. 그녀는 우아한 프릴이 달린 흰색 블라우스 위에 자수가 수놓아진 검은 카디건과 걸쳤고 그와 걸맞는 검은 바지를 입었다. “오래전부터 사람들은 언제나 제 스타일을 보고 멋쟁이라고 칭찬해줬어요. 그게 제가 패션 일에 뛰어들게 된 계기가 되었어요.”

그녀의 패션 감각은 이미 90년대부터 그 능력을 발휘했다. 한국 여성들이 샤넬, 에르메스와 같은 해외 명품 브랜드 외에도 한국의 로컬 가죽 브랜드에 지갑을 열게 데에는 석정혜의 지난 행보가 큰 공헌을 했으리라 짐작한다.

졸업 직후 타 회사들에서 악세사리와 주얼리 디자이너로 활약한 그녀는 이어 가방 브랜드 ‘쿠론’을 설립한 뒤 2010년 섬유와 화학 전문 기업 ‘코오롱’에 브랜드를 매각했다. 7년간 브랜드 매니저와 수석 디자이너를 도맡아 연 670억의 수익을 호가하는 어마어마한 성공을 이끌기도. 그 뒤 신세계그룹에 들어가 그녀만의 브랜드를 새로 창립하게 된다. “대기업에 들어가서 일을 해며 스스로 행복하지 않다고 느꼈어요. 그래서 다시 저만의 일을 하기로 결심했죠.” 그리고 2018년 ‘분크’가 탄생했다. 어디에서든 착용 가능한 이 브랜드의 가방은 단정하면서도 특유의 색감과 모양으로 주변의 시선을 사로잡는다.

분크 쇼룸에 있는 대표 석정혜. 브랜드의 이름 ‘분크 Vunque’는 ‘어디에서도’라는 뜻을 지닌 이탈리아어 ‘ovunque’에서 유래되었다.

나만의 브랜드를 만드는 건 쉬운 일이 아니다. 그녀의 엄청난 성공에도 불구하고 석정혜는 주위에서 지원을 많이 못받았다고. “사람들은 제가 그냥 운이 좋았다고 생각했나봐요.” 대한민국에서 커리어우먼으로 살아가는 것이 어떤지 묻자, 그녀는 모호한 답변을 내주었다. “저는 그냥 제 일에 집중해요.” 석정혜는 ‘분크’의 시그니처 면도칼처럼 도전할줄 아는 사람이다. “이 디자인은 ‘오캄의 면도칼’ 이론에서 모티브를 얻어 만들었어요. 가장 단순한 해답이 주로 정답이라는 뜻이죠.”

가방에서 엿볼 수 있는 단순 명료함과 직관성은 그녀의 개인 취향을 적극 반영한 것이다. 석정혜는 오늘날까지 1990년도에 구입했던 빈티지 질 샌더 디자인을 즐겨 착용한다. 동시대에 만들어진 나일론 프라다 백은 그녀가 스스로 구입한 첫 명품 가방으로, 당시 한달치 월급을 털어 구매했다며 비화를 털어놓았다. “그때부터 일부러 아무도 안매는 가방을 골랐어요”라며 당시를 회상했다. 그녀는 개성을 드러내길 좋아하지만, 대부분의 한국 여성들은 그렇지 않다는 것을 누구보다 잘 알고있다.

“가방은 당신이 누구이며 무엇을 가지고 있는지 드러내는, 한 사람의 신분을 보여주는 아이콘으로 작용해요.” 그럼에도 많은 여성들이 사뭇 ‘도전적’으로 느껴지는 분크의 가방에 매료되고 있다는 걸 느낀다고 한다. “한국적이다 혹은 해외 브랜드같다 등 하나의 카테고리로 규제하고 싶지 않아요. 그냥 이 자체로 유니크한거죠. 고객분들도 그걸 원하는 거고요.” 분크는 시즌마다 적게는 100개, 많게는 130개의 신상 모델들을 출시하고, 수요일마다 브랜드의 신상품을 공개하며 팬들에게 즐거움을 선사한다. 약 20만원에서 40만원 정도 되는 ‘착한’ 가격덕에 한 고객이 여러 제품들을 한꺼번에 구입하는 일이 적지 않다고. “싸도 너무 싼거죠” 석정혜는 이렇게 말하며 웃음을 터뜨렸다. 수많은 일들을 처리해내야만 하는 비즈니스우먼 석정혜는 결코 일을 쉬는 법이 없다. 종종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시간을 보내기도 하지만 말이다. “사실 저도 그곳에서 쉬고 싶어서 가는거예요.” 그러곤 이렇게 덧붙였다. “그렇지만 다시 돌아오면 제 머릿속은 언제나 최고의 아이디어들로 넘쳐나죠.”

Text
Silvia Ihring
Fotos
Si-Young Song